• HOME

일본의 교원 전문성 함양을 위한 실천 프로그램

작성자
김지영(일본통신원)
발행일
2019.09.25
첨부파일
pdf파일일본의 교원 전문성 함양을 위한 실천 프로그램.pdf

일본의 교원 전문성 함양을 위한 실천 프로그램


일본에서 교원의 전문성 관련 논의로는 크게 교원의 전문성(professionality)’과 교직의 전문직성(professionalism)’에 관한 논의가 있다. 쓰지노 켄마와 사카키바라 요시히로(辻野けんま·榊原禎宏, 2016)에 의하면 교원의 전문성은 교사가 학생에 대해 교육행위를 할 때 어떠한 전문적 지식과 기술을 사용하는지를 다루는 것이고, 교직의 전문직성은 교직이 직업으로 어느 정도 전문직으로서의 지위를 획득하고 있는가를 다루는 것이다. 본 기사에서는 전자에 해당하는 교원의 전문성에 대해 이에 대한 인식과, 이를 함양하기 위한 방안과 과제에 대해 간략히 소개하고자 한다.

 

1. 일본의 교원 전문성에 대한 인식

 

교육기본법(教育基本法)과 교육공무원특례법(教育公務員特例法)을 보면, ‘(교원은) 끊임없이 연구(研究)와 수양(修養)에 힘써 그 직무수행을 해야 한다고 한다. 여기서 연구는 지적, 논리적 활동으로 교육적 지식과 견문을 획득하는 행위이다. ‘수양은 교사로서 인격을 갈고 닦으며 정신을 연마하는 활동으로, 직무에 대한 사명감과 열정, 학생에 대한 깊은 애정, 높은 윤리 의식과 같은 정신활동에 이르는 행위이다. ‘연구수양은 교원의 자질, 능력 또는 전문성이라고 할 수 있다.

한편 중앙교육심의회(2015)는 앞으로 교원에게 요구되는 자질과 능력에 대해 다음과 같은 세 가지를 들고 있다.

 

지금까지 교원으로서 갖추어야 할 자질과 능력에 더해 자율적으로 배우는 자세를 가지고 시대의 변화와 스스로의 커리어 스테이지(キャリアーステージ)에 따라 요구되는 자질과 능력을 평생에 걸쳐 향상시켜 나갈 수 있는 힘, 정보를 적절하게 수집하고 선택하며 활용하는 능력, 지식을 유기적으로 연결시켜 구조화하는 힘

액티브 러닝의 관점에서 수업개선, 도덕교육의 충실, 초등학교의 외국어교육 조기화와 교과화, ICT 활용, 발달장애를 포함한 특별한 지원을 필요로 하는 학생에 대한 대응 등 새로운 과제에 대응할 수 있는 역량

팀학교チーム学校라는 생각 하에 다양한 전문성을 지닌 인재와 효과적으로 연계, 분담하고, 조직적, 협동적으로 여러 과제를 해결하는 힘

 

2. ‘수업 스탠더드교내연수

 

교원의 전문성 함양, 향상을 위해 일본에서는 교원의 양성, 채용, 연수의 과정에서 체계적이고 다양한 접근을 하고 있다. 그 중에서 특히 의무교육 구조개혁 이후 교육의 질을 보증하기 위해 지자체가 작성하는 수업 스탠더드(授業スタンダード)’, 그리고 수업지도 능력의 실질적인 향상에 있어 중요한 역할을 하면서 바쁜 업무 속에서도 효율적으로 실시할 수 있기 때문에 최근에 더욱 그 충실이 강조되고 있는 교내연수(校内研修)’를 들 수 있다.

 

1) 수업 스탠더드

수업 스탠더드는 학력테스트의 결과에 근거하여 수업, 지도를 개선하는 검증개선방법 중 하나이다. 전국학력학습상황조사(全国学力·学習状況調査)의 결과에 따라 지자체는 교육행정조치를 시행할 수 있다. 독자적으로 학력테스트를 실시하거나, 학교지원팀, 학력 향상 어드바이저, 학력 향상 지원인력 등을 배치하거나 파견할 수 있다. 또한 수업 개선 플랜을 작성하기 위한 안내서나 개선사례집을 발행하고, 과제별 지도사례집을 작성하여 배부한다. 이와 같은 개선방법 중 수업 스탠더드는 구체적인 지도방법이나 표준 내용을 책정하는 것이다. 사와다(澤田, 2018)의 연구에 의하면 수업 스탠더드지도문서를 작성하고 있는 도도부현(都道府県)의 수는 아래 <1>과 같다.

 

<1> 수업 스탠더드와 지도문서를 작성하는 도도부현의 수

 

지도문서

합계

있음

없음

수업 스탠더드

있음

17

14

31

없음

13

3

16

합계

30

17

47

출처: 사와다 토시야(2018).

 

<1>에 따르면 수업 스탠더드또는 지도문서를 모두 작성하지 않는 도도부현은 3곳에 불과하여, 대부분의 지자체가 둘 중 하나를 작성하고 있다. 또한 전체의 절반에 이르는 지자체가 수업 스탠더드지도문서를 모두 작성하고 있다.

수업 스탠더드에는 지식의 습득과 활용, 언어활동, 협동적인 문제해결, ICT의 활용 등과 같은 학습지도요령의 내용에 대한 구체적인 지도내용과 방법을 모델로 제시하는 경우가 많다. 그 중에는 학습규율과 체크리스트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도 있는데, 노트 필기지도, 판서방법, 질문방법, 수업 마무리단계에 돌아보기 활동을 도입, 수업 중 학생의 자세와 손들기 방법, 책상 위 학용품 배치 등이 있다.

 

2) 교내연수

교내연수는 학교현장에서 이루어지는 것으로, 주로 모의수업이나 사례연구와 같은 실천적인 내용을 중심으로 이루어진다. 중앙교육심의회(中央教育審議会, 2012)교내연수자주연수를 활성화해야 한다고 언급하였다.

교내연수를 충실히 하기 위해 학교는 교내연수리더를 두고 연간의 교내연수계획을 세워 실시하도록 하고 있다.2019년도에 전국학력학습상황조사를 실시하였는데, 결과는 다음과 같다.

 

<2> 전국학력학습상황조사 설문결과

응답(%)

질문

잘 실시했다

대체로 실시했다의 총합(%)

초등학교

중학교

교장의 리더십 하에 연수리더 등을 교내에 두고 교내연수 실시계획을 정비하는 등 조직적, 지속적인 연수를 실시하고 있는가

99.2

98.2

학교에서 테마를 정해 강사를 초빙하는 등의 교내연수를 실시하고 있는가

94.8

91.4

수업연구나 사례연구 등 실천적인 연수를 실시하고 있는가

99.3

95.8

교원이 다른 학교나 외부의 연수기관 등 학교 밖에서의 연수에 적극적으로 참가할 수 있도록 하고 있는가

97

94.7

교원이 학교 밖의 교과교육에 관한 연구회 등에 정기적, 지속적으로 참여하고 있는가

88

83.9

교직원은 교내외의 연수나 연구회에 참여하여 그 성과를 교육활동에 적극적으로 반영하고 있는가

94.4

89.5

 

3. 특징과 시사점

 

츠지노와 사카키바라(2016)는 꼭 학교에 가지 않아도 되는 시대 속에서, 국가를 넘어 글로벌 사회의 공교육에서 요구되는 교원의 전문성이란 무엇인지에 대해 물어볼 필요가 있다고 말하였다. 학교를 둘러싼 상황이 급변하고 다양한 수요가 생겨나면서 교원이 여러 가지 과제에 대응해가는 것은 중요하다. 하지만 좀 더 장기적 안목으로 미래에 공교육, 학교가 어떤 형태로 어떤 역할을 하게 될지를 고려하면서 그에 맞는 교원의 전문성을 고찰하고 미리 준비해 나가는 것이 더 필요하다.

지방교육위원회가 작성하는 수업 스탠더드는 교육의 질을 보장하기 위해 수업내용과 방법의 표준을 모델로 제시하는 것이다. 효과가 검증된 사례는 교사의 수업지도 개선에 도움이 될 수 있다. 그러나 가쓰노(勝野, 2016)수업 스탠더드에 근거한 수업의 규격화·표준화와 학생의 다양한 필요에 대응하면서 이루어지는 교육실천 사이에 갈등이 발생할 수 있다는 점을 지적하였다. 예를 들어, 100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실시한 어떤 치료방법이 90명에게 효과가 있다는 것이 증명되었다고 해서 나머지 10명에게도 그 치료방법을 사용해야 한다는 것은 문제가 있다. 이는 특별한 교육수요가 있는 학생이나 문화적 소수에 속하는 학생에 대한 배려가 결여될 수 있다는 것이다.

또한, 가쓰노(2016)는 교사의 수업 스탠더드의존가능성에 대해서도 언급하였다. ‘수업 스탠더드에는 체크 리스트가 포함된 경우가 많으며, 교내연수에서도 수업 스탠더드를 활용하고, 지도주사(指導主事)가 학교방문을 하여 수업 스탠더드에 입각한 수업을 실시하고 있는지 체크하는 경우가 있다. 교사가 수업 스탠더드를 충분히 숙지한 후 활용하기 보다는 이에 전적으로 의존하게 될 경우, 오히려 수업을 디자인하고 학생의 학습과정과 질을 판단하는 힘이 쇠퇴하는 등 교원의 전문적 역량을 형성하기가 어려워질 수도 있다고 지적하였다.

학생의 학력을 보장하는 것은 말할 것도 없이 중요하다. 그러나 교원의 전문성을 학력향상에만 초점을 맞추어 생각하게 되면, 학력향상에 효과가 있다고 검증된 우수사례만 발굴·보급될 가능성이 있다. 이러한 사례의 위상과 활용에 있어 주의하지 않는다면 교원의 전문성과 다양성을 저해하고 학생에게는 강한 학습규율로 작용할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

지금까지 살펴본 일본의 사례는 교원의 전문성을 함양하기 위해서는 교원이 그 자질과 능력을 자발적으로 향상시켜 나갈 수 있도록 교내외에 다양한 기회와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보여준다. 또한, 이처럼 전문성 함양을 위해 마련된 기회를 더 많은 교사가 적극 활용하도록 권장하기 위해서는 과중한 업무를 경감하고, 이런 전문성 함양 연수비용을 지원하는 등 다양한 대책이 마련되어야 한다. 그러나 가장 중요한 것은 전문성에 대해 교원 스스로 고민하고, 때때로 제시되는 지도방법과 내용에 대해 탐구하는 과정이 필요하며, 바로 눈앞의 학생이 처한 상황과 학습과정을 주시하면서 대응하고 수업을 디자인하는 능동적인 자세를 잃지 않는 것이다.

 

참고자료

 

쓰지노 켄마·사카키바라 요시히로(辻野けんま・榊原禎宏, 2016) 교원의 전문성론의 특징과 과제-2000년 이후의 문헌을 중심으로(教員専門性特徴課題2000年以降文献中心), 일본교육경영학회기요(日本教育経営学会紀要), 58(58)

https://researchmap.jp/?action=cv_download_main&upload_id=248241

https://ir.lib.hiroshima-u.ac.jp/files/public/3/35888/20141016210628652140/JEEC_1_3.pdf

중앙교육심의회(中央教育審議会, 2012). 교직생활의 전체를 통한 교원의 자질과 능력의 종합적인 향상방안(답신)(教職生活全体じた教員資質能力総合的向上方策について(答申))

http://www.mext.go.jp/component/b_menu/shingi/toushin/__icsFiles/afieldfile/2012/08/30/1325094_1.pdf

중앙교육심의회(2015). 앞으로의 학교교육을 담당하는 교원의 자질과 능력의 향상(답신)(これからの学校教育教員資質能力向上についてびあい教員育成コミュニティの構築けて(答申))

http://www.mext.go.jp/component/b_menu/shingi/toushin/__icsFiles/afieldfile/2016/01/13/1365896_01.pdf

국립교육정책연구소(国立教育政策研究所, 2019). 2019년도 전국학력학습상황조사 (질문지조사의 결과)(平成31年度全国学力学習状況調査(質問紙調査結果))

http://www.nier.go.jp/19chousakekkahoukoku/report/data/19qn_03.pdf

가쓰노 마사아키(勝野正章, 2016). 지자체 교육행정이 교육실천에 미치는 영향-수업 스탠다드를 사례로(自治体教育政策教育実践ぼす影響-授業スタンダードを事例として), 일본교육정책학회연보(日本教育政策学会年報), 23(23)

사와다 토시야(澤田俊也, 2018). 도도부현에 의한 수업 스탠다드의 작성상황과 텍스트 내용의 검토, 국립교육정책연구소기요(国立教育政策研究所紀要), 147(147).

https://www.nier.go.jp/kankou_kiyou/147/d05.pdf

 

※ 기획기사는 참고문헌을 요약·정리하여 작성되며, 교육정책네트워크, 한국교육개발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