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HOME

싱가포르의 교원 전문성 함양을 위한 실천 프로그램

작성자
김연정(싱가포르통신원)
발행일
2019.09.25
첨부파일
pdf파일싱가포르의 교원 전문성 함양을 위한 실천 프로그램.pdf

싱가포르의 교원 전문성 함양을 위한 실천 프로그램


1965년 말레이시아로부터 독립한 섬나라 싱가포르는 세계에서 가장 큰 금융 중심지 중 하나를 자랑하면서 작은 어촌에서 주요 상업 중심지로 발전했다. 천연자원이 없는 나라에 사는 싱가포르 사람은 자국의 생존이 인적 자본에 달려 있다고 생각했고, 이러한 믿음은 싱가포르가 자국의 교육 시스템의 질적 향상을 위해 노력할 수 있는 강한 원동력이 되었다.

싱가포르의 교육시스템은 최근 몇 년 동안 전 세계의 교육자, 연구자, 정책 입안자 사이에서 가장 많은 관심과 호기심을 불러일으키며 세계 최고의 교육국가로 평가받고 있다. 싱가포르 교육부는 다른 나라의 우수 교육 사례(성공한 학교, 교육정책, 커리큘럼, 서비스 전 교육, 전문성·리더십 개발 프로그램 등)를 검토하여 교육 시스템을 세심하게 설계하였으며, 이는 교육 시스템의 획기적 변혁에 기여했다. 본 보고서에서는 싱가포르의 교육시스템 중 오늘날 싱가포르의 높은 교육 수준에 가장 크게 기여를 했다고 볼 수 있는 교원 전문성을 함양하기 위한 싱가포르 교육부의 여러 사례와 프로그램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1. 싱가포르의 교원 전문성에 대한 인식

 

19976월 당시 싱가포르의 총리였던 고 촉 통(Goh Chok Tong)에 의해 싱가포르는 생각하는 학교, 학습하는 국가(Thinking Schools, Learning Nation)’라는 목표를 설정하고, 교단에 제공되는 지속적인 전문성 개발(Professional Development, 이하 PD)’에 특별한 관심을 두기 시작했다. 그 후, PD는 교사의 능력을 더 높은 수준으로 향상시키는 초석으로서 여겨져 왔다. 교육부(2005)의 후속 시책인 덜 가르치고, 더 학습하라(Teach less, Learn mor)’는 이니셔티브와 현재 PD 시스템의 모델인 교사 성장 모델(Teacher Growth Model)’은 교사의 전문성 개발 학습 향상을 위한 PD의 핵심 역할을 더욱 강조하였다. 현재 정책 입안자, 연구자, 교사 교육자들 사이에서는 주요 커리큘럼과 교육학 개혁이 성공하려면 교사의 역량 구축이 필수적이라는 데 의견이 일치하고 있다.

이에 싱가포르의 PD는 교사의 요구를 충족시키고, 교사가 자기 동기 부여와 목표를 설정할 수 있도록 학습 기회를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러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싱가포르 교육부는 교사 성장 모델(Teacher Growth Model)’을 만들었다. ‘교사 성장 모델을 통해 PD가 교원 전문성에 대한 초기 준비 단계와 다음 단계로의 인도단계, 지속적인 개발과 성장, 그리고 평생의 커리어까지 연속성을 가지도록 개념화했다. 그리고 교사의 전문성(초보자, 경험자, 전문가) 수준에 따라 일반적으로 다른 PD 루트를 제공하고 있다. 또한, 교사의 장래 진로 목표와 이용 가능한 학습 간의 접점을 넓히기 위해 많은 학교에서는 학습 개발자를 임명하고, 교사에게 자신의 역량과 관심사에 맞춘 PD를 제공하려고 노력하고 있다.

교사 성장 모델은 온/오프라인 강좌, 워크숍, 대학원 과정, 전문 컨퍼런스, 컨벤션, 심포지엄, 액션 리서치, 멘토링, 코칭, 학회 등 다양한 형식과 플랫폼을 통해 교사의 학습능력을 더욱 발전시키도록 권장한다. 교사는 또한 자신의 PD 시간의 일부를 상담, 다문화 교육, 개인의 안녕 또는 사회 기술과 같이 교육과 직접 관련이 없는 주제에 대해 배우는 데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싱가포르 교육부는 이러한 유형의 교육 경험을 통해 교사가 21세기 교육의 요건과 과제를 수행하는데 크게 기여할 것으로 생각한다.

 

2. 교원 전문성 함양 프로그램 추진 사례

 

싱가포르에는 초·중등 교사을 위한 3개의 주요 PD 공급자가 있다. 하나는 국립교육원(National Institute of Education, NIE)’으로, 신규 교사를 양성하기 위한 교육 프로그램, 상급 교사를 위한 교육 리더십 프로그램, 그리고 학과장, 교감과 같은 교육자 리더로부터 더 높은 자질을 끌어내는 프로그램 등을 제공한다. 두 번째 제공자는 싱가포르 교사 아카데미(Academy of Singapore Teachers, AST)’이고, 세 번째 제공자는 싱가포르 교육부가 2010년에 설립한 6개의 우수 센터이다.

해당 기관에서는 다양한 유형의 학교 교사를 모아 네트워크로 연결된 학습 기회를 제공한다. 실제로 싱가포르는 협력적이고 공동체 지향적인 형태의 PD에 많은 중점을 두고 있는데, 이는 교사의 지식을 증진시킬 뿐만 아니라 교사 사이에 소속감, 연대의식, 결속력을 가져오는 것으로 간주하기 때문이다. ‘향상된 파트너십 모델은 이들 세 PD 제공 업체 간의 강력한 삼각협력을 강조하여 싱가포르의 교사에게 제공되는 다양한 기회의 연수와 프로그램이 엄격하면서도 일관되게 실행되도록 한다.

싱가포르의 교사는 매년 100시간의 자발적인 PD를 수행해야 한다. 교사가 참여할 수 있는 활동에는 공식/구조화된 과정과 프로그램에서부터 보다 비공식/개혁 기반 이니셔티브(액션 연구, 레슨 연구)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유형이 있다. 전문성과 경력이 다른 교사는 각자 다른 PD 기회에 접근할 수 있다. 대부분의 PD는 과목별로 다르며 교사에게 네트워크화된 학습, 대학 공유, 협업 등을 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최근, 모든 학교는 전문적인 학습 공동체(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ies, 이하 PLC)’가 되도록 의무화되었다. PLC는 모든 방면을 아우르며, 이는 국제적으로 거론되는 고품질’ PD의 특징이기도 하다.

교사 전문성 개발과 관련하여 싱가포르 교육부가 창의적 인재 양성을 위해 추진하고 있는 사업 중 하나로 싱가포르 미래학교(Future School@Singapore)’가 있다. ‘싱가포르 미래학교는 미래사회의 경쟁력 확보와 정부의 정보통신 인프라 개선 10년 계획인 지능형 국가(Intelligent Nation) 2015’ 마스터플랜의 일환으로 추진되고 있으며, 8개가 운영되고 있다.

싱가포르 미래학교는 모든 과목 전체 교육과정에 걸쳐 전반적인 교수학습의 혁신을 강조하는 방식으로 테크놀로지를 활용하는 학교이다. 교사학습공동체는 미래학교에서 정보통신기술(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Technology, ICT)을 강화한 교수학습 방법을 개발하고, 혁신적으로 수업에 활용하는 정보를 공유하기 위해 운영되고 있다. 그런 측면에서 미래학교의 교사학습공동체 운영 방향은 다음과 같다.

 

학생이 참여하는 혁신적인 교수학습 방법을 발굴하기

혁신적인 ICT 중심 실행방안을 디자인하기

ICT의 장점을 활용하여 교육학적 적용방안을 심화하고 강화하기

수업 자원을 공유하기

 

현재 싱가포르 난양공과대학교(Nanyang Technological University, NTU)는 대표적인 미래학교 협력기구라고 할 수 있다. 이 학교의 리싱콩(Lee Sing Kong) 교수는 1990년대 당시 지식은 교사의 전유물과 같아서 학생은 오직 교사를 통해서만 지식을 얻을 수 있었지만, 오늘날 지식은 더 이상 교사들이 독점할 수 없게 되어 시대가 변하면서 교사도 변해야 한다고 보았다. 현시대를 살아가는 학생은 교사 없이도 무한한 정보의 홍수 속에서 마음껏 지식을 얻을 수 있기 때문에 교사의 역할은 지식 전달자가 아니라 촉진자로서, 학생이 올바른 지식을 얻을 수 있도록 지원해야한다. 학생이 정보를 창의적으로 활용하면서 적절하지 않은 정보는 선별하는 능력을 갖출 수 있도록 지도하는 방법에 대해 미래학교 교사학습공동체에서 개발하고 수업에 활용한다.

싱가포르 미래학교 중 하나인 니안중등학교(Ngee Ann Secondary School, NASS)에서 교사의 역할은 학생이 수업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도록 분위기를 조성하는 것이다. 이때 테크놀로지는 훌륭한 도구로 작용하여, 학교를 재미있는 곳, 또 가고 싶은 곳으로 여길 수 있도록 학생이 흥미를 가지고 활동에 직접 참여하도록 한다. 바로 학생이 즐겁게 활동에 참여하는 순간 진짜 배움이 일어난다는 것이다. 교사는 테크놀로지를 이용하여 학생이 함께 협업해가며 정보를 통합하여 문제를 해결할 기회를 수업 중 자주 제공하려고 한다. 때로는 테크놀로지가 있어 가능한 혁신적인 교수 학습활동이 이루어지기도 한다. 예를 들면, 수업 중 40명의 학생이 한꺼번에 40개의 질문을 할 수 없지만, 스마트기기의 메시지 앱(App)을 이용할 때 학생이 동시에 서로에게 질문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때 교사는 테크놀로지를 통해 그들의 창의적인 사고 과정을 모니터링 할 수 있다. 또한, 학교 공간을 넘나드는 다양한 학습활동이 이루어진다. 예술 수업 중 학생은 세컨드 라이프(Second Life, 인터넷 기반의 가상 세계)’에서 실제 미술관을 방문하여 작품을 감상하듯이 가상 아바타를 통해 활동할 수 있다. 학생은 세컨드 라이프에서 작품을 감상한 후 감상평을 남겨 공유하도록 한다. 교사는 온라인 활동과 연계하여 학생이 교실에서 관련 활동을 하면서 역동적으로 수업을 진행할 수 있도록 한다.

미래학교 니안중등학교의 교사인 디파 마단(Deepa Madan)은 교사가 서로의 수업을 관찰하는 기회를 통해 공유와 소통을 경험하며 교사학습공동체로 성장해나갈 수 있다고 말한다. 동료 교사의 녹화된 시범 수업을 보면서 관련 피드백을 제공할 수도 있지만 논의한 내용을 자신의 수업에도 반영할 수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미래학교에서 교사는 테크놀로지를 학생의 활동과 연결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을 찾아야 하므로 늘 고민하게 된다는 것이다.

 

3. 특징과 시사점

 

싱가포르의 교사는 학교 지도자와 협의하여 스스로 PD를 만들어 간다. 교사는 PD의 접근법이 교수법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고 생각했으며, 학생들을 더 잘 이해하도록 도와주고 있다고 인식한다.

싱가포르 교사의 전문적 발전을 지원하기 위해 마련된 모든 자원에도 불구하고 개선해야 할 과제가 있다. 첫 번째, 교육 기회의 접근성이다. 대부분의 교사가 수많은 다른 과목을 가르치지만, 일부 초등학교의 교사는 그들이 전문적으로 다루는 과목과 관련된 PD에만 참석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전문화 범위를 벗어난 영역에서 교육 역량을 향상할 수 있는 기회가 상실된다.

두 번째, 다양한 학업 책임, 학업 외의 행정 업무를 포함한 교사의 과도한 업무량이다. 이러한 모든 책임을 다해야 하는 상황에서 교사는 자신이 참여하는 PD 활동에 모든 에너지를 쏟기가 어려워진다.

마지막으로, 싱가포르의 교육 시스템은 매우 경쟁적이고 선택적이며 학생이 직업적인 미래를 보장하려면 좋은 성적을 얻는 것이 필수적이다. 다른 아시아 국가와 마찬가지로 학문적으로 성공하는 것은 가족과 사회 전체에서 높이 평가되고 보상받는다. 게다가 학생의 시험 점수는 교사의 성적을 평가할 때 고려되는 요소 중 하나이다. 이러한 모든 이유로 인해 싱가포르의 많은 교육자는 시험 점수를 향상시키기 위한 교육 활동에 치중할 수밖에 없다고 느끼고 있으며, PD를 통해 혁신적인 교수법, 학생 중심 교육, 질의 기반 학습 활동 등을 배우는 것에 제약을 받고 있다. 학부모로부터 자녀의 성적 향상에 대한 압박에 직면하고, 개입이 빈번하게 발생하면서 PD 활동에는 제약이 심해지는 점 또한 아쉬운 점이다.

 

참고문헌

 

싱가포르 국립 도서관 (2018). Thinking Schools, Learning Nation

http://eresources.nlb.gov.sg/infopedia/articles/SIP_2018-06-04_154236.html

싱가포르 국립 교육 대학교 (2019). Professional Development Programmes & Courses https://www.nie.edu.sg/professional-and-leadership-development/professional-development-programmes-courses

Dimmock, C., & Tan, C. Y. (2013). Educational leadership in Singapore

http://dx.doi.org/10.1108/09578231311311492

Ellis, N. J. (2014). Afraid to lose out: the impact of kiasuism on practitioner research in Singapore schools

http://dx.doi.org/10.1080/09650792.2013.859088

Ellis, N. J. (2014). Afraid to lose out: the impact of kiasuism on practitioner research in

Singapore schools. Educational Action Research, 22(2), 235-250. doi: 10.1080/09650792.2013.859088

Gopinathan, S. (2012). Fourth way in action? The evolution of Singapore's education system. Educational Research for Policy and Practice, 11(1), 65-70. doi: http://dx.doi.org/10.1007/s10671-011-9117-6

Gopinathan, S. (2012). Fourth way in action? The evolution of Singapore's education system http://dx.doi.org/10.1007/s10671-011-9117-6

Bautista, Alfredo (2015) Teacher professional development in Singapore: Depicting the landscape https://repository.nie.edu.sg/handle/10497/18171

 

※ 기획기사는 참고문헌을 요약·정리하여 작성되며, 교육정책네트워크, 한국교육개발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