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HOME

[싱가포르]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교육적 노력과 정책 동향

발행일
2019.09.19
필자
김연정
소속
교육정책네트워크 싱가포르통신원

 


  말레이시아 반도 최남단에 있는 싱가포르는, 면적은 서울의 1.13, 인구 580만 명의 작은 도시국가이다. 1965년 말레이시아 연방으로부터 독립 후, 좁은 국토와 부족한 천연자원으로 산업화, 항구시설, 관광 개발을 통한 경제발전을 추구하였다. 독립 초기에는 급격한 산업화와 도시화로 인해 자연환경 파괴, 심각한 오염 문제가 발생하였다. 이에 정부는 강력한 영향력으로 환경, 경제발전, 사회적 안정, 국가발전, 국가 이미지의 5가지 우선순위에 따라 균형을 이룬 정책 수립을 통해 일찍부터 환경오염 방지와 자연환경 보존에 힘쓰고 있다. 본고에서는 대만, 홍콩, 한국과 비교하여 높은 환경의 질을 유지할 수 있었던 싱가포르의 환경정책과 미래 싱가포르의 환경을 책임질 세대를 위한 교육적 노력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싱가포르의 환경 정책

  - 정원 도시 계획 (Garden City Vision, 1965~1992)

   '정원 도시'계획은 1967년 리콴유 전 국무총리의 주도로 실행되었다. 싱가포르를 풍요로운 녹지와 깨끗한 환경을 갖춘 도시로 탈바꿈시켜, 국민의 삶의 질 향상뿐만 아니라 국가 이미지 개선으로 관광객과 외국인 투자자를 유치하고자 하였다. 초기 단계에서는 나무 심기 프로그램의 형태로 실행되었으며, 1970년 말까지 55천 그루 이상의 새로운 나무를 심었다. 또한, 주택개발위원회(Housing & Development Board, HDB)와 같은 정부기관과 민간 개발업자들이 주택단지 개발, 도로 건설 사업에서 녹지 공간을 마련하도록 1975년에 관련법을 제정하였다.
  1970년대 중반의 공원 개발 정책은 거주자를 위한 더 많은 휴양 공간을 제공하고, 건설된 지역에서 환기를 제공하거나 녹색 폐역할을 하는 녹색 공간을 확립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으며, 이것은 싱가포르의 경관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 이 결과, 공원과 녹지 면적은 1975879ha에서 현재 10,000ha 수준까지 늘었고, 공원은 13개에서 330개로 늘어났다.

 

  - 싱가포르 녹지 계획 (Singapore Green Plan, 1992~2009)

  싱가포르는 치밀한 토지 이용 계획과 녹지 조성을 통해 1980년대 후반까지 세계적으로 유명한 정원도시가 되었다. 산업화로 국민들의 생활수준은 향상되었지만 인구 증가와 더불어 지구온난화, 생물다양성 보존 등 환경문제에 대한 우려가 증대됨에 따라 대대적인 환경 정책 검토가 실시되었고, 이러한 결과로 Singapore Green Plan(이하 SGP)이 탄생하였다.

  19925월에 발표된 SGP는 환경 및 개발 수요의 균형을 맞추기 위한 첫 국가적 계획이었으며, 환경을 훼손하지 않는 경제성장 모델을 개발하는 것을 목표로 했다. 이에 따라 환경에 대한 새로운 아이디어와 대기 오염과 온실가스 배출 등 기후 변화 문제를 고려하기 위해 시작되었으며, 2002년에는 SGP 2012로 알려진 두 번째 SGP가 출시되었다<1>.

<1> Singapore Green Plan 2012

 

구분

목표

공기 및 기후변화

공기의 오염 지수(PSI)를 연 85% 기간 동안 좋음유지

미립자 물질 2.5(PM 2.5) 레벨을 2014년까지 연평균 15μg/Nm3 이하 관리

수자원

저수지 면적을 싱가포르 육지의 67%까지 확대

2012년까지 1인당 국내 물 소비량을 하루 155L로 감량

폐기물 관리

2012년까지 전체 폐기물 재활용률을 60%로 확대

Semakau 매립지의 수명을 50년으로 연장 및 폐기물 비 매립 추구

자연보호

더 많은 공원과 녹색 연계를 구축 및 국립 생물 다양성 참조 센터 설립

공공보건

매개체 감염 질병과 식품 감염 질병의 발생률을 낮게 유지

국제환경

지역 및 글로벌 수준의 파트너와의 협력을 강화를 통한 환경 문제 해결

 


  - 지속가능한 싱가포르 청사진 계획 (Sustainable Singapore Blueprint, 2009~현재)

  현재 SGP 2012는 많은 목표가 달성되었다. 또한, 2030년까지 지속가능한 개발 전략을 유지하기 위하여 20094, Sustainable Singapore Blueprint 정책이 공개되었다. 이 정책은 아래의 5가지 주제를 가지고 추진 중이다.

·환경친화적 주거 환경 : 태양광 패널 장착, 고효율 가전제품 사용

·Car Lite 국가: 대중교통, 자동차 Free Zone, 자전거 도로, 전기 자동차 사용 확대

·쓰레기 제로 국가 추구 : 유압 쓰레기 운반 시스템(PWCS) 및 분리수거 확대, 자체 음식물 쓰레기 처리 식당가 조성 및 포장재 간소화 추진

·녹색 경제 선도 : 친환경 빌딩 건설, 태양광 발전 확대, 탄소세 부과

·적극적인 환경 공동체 : 환경 봉사 단체 확대

 

  싱가포르의 환경 교육

  환경에 대한 과학적이고 사회적인 지식을 기르는 것은 환경 친화적인 사회를 건설하는 첫걸음이었으며, 1990년대부터 시작된 싱가포르의 녹색 계획 중 한가지로 환경에 대한 교육의 중요성이 부각되었다.

싱가포르의 환경 교육은 우리 신체의 건강한 환경에 중점을 두고 자연과 인간이 만든 환경의 모든 측면을 통합하는 것으로 정의한다. 그것은 상품의 소비자뿐만 아니라 생산자로서 인간과 관련된 모든 활동을 포함한다. 환경교육은 가정이든 학교든 직장이나 지역사회든 평생 과정이어야 한다(환경부, 1993).

 

  리콴유 전 총리는 사람들을 좋은 환경에 두면 건강하고 근면한 사람들이 생기고, 그들은 일하고 생각할 수 있다'라고 말했으며, 이것은 현재의 정책, 환경 교육에도 남아있다. 정부의 강한 영향력 아래 싱가포르가 추구하는 환경, 경제발전, 사회적 안정, 국가발전을 고려하여 교육 커리큘럼이 수립되었다. 교육부는 환경에 관한 교육과정을 수립하지만, 그 교육과정은 환경부에서 고려되는 싱가포르의 환경 문제를 기반으로 작성된다. , 전자는 교육과 학습 과정이 주요 관심사지만, 후자는 콘텐츠에 더 관심이 많다. 이러한 사항들이 반영되어 싱가포르의 정규 환경교육은 주로 교육부에서, 비정규 환경교육은 환경부의 주관으로 진행되게 된다.

 

 

  - 교육부 주관의 정규 환경교육 커리큘럼

  싱가포르 교육부는 환경교육을 정규 교육과정에서 가르치고 있다. 환경교육은 초중등과정 내 다양한 과목에서 시행되는데, 초등교육에서의 환경교육은 일차적인 수준으로 환경 및 생물에 대한 오염, 지구 온난화, 삼림 벌채 등이 주는 부정적인 영향과 환경보존에 대해 배운다. 사회과목에서 학생들은 싱가포르의 물리적 환경과 책임감 있게 자원을 사용하는 것의 중요성을 습득하게 되며, 3R(Reduce(절약), Reuse(재사용), Recycle(재활용))에 대한 교육을 받게 된다.

  중등교육에서는 지리, 과학, 사회 수업을 통해 지구 온도 상승과 폐기물 처리로 인한 환경문제뿐만 아니라, 자원 고갈과 같은 더욱 심화된 주제로 학습범위를 넓힌다. 학생들은 지속가능한 자연과 환경을 유지하기 위한 다양한 해결책을 검토하고 저울질할 기회를 가진다. 생물 생태계를 통해 다양한 종의 상호 의존성을 높이 평가하고 보존의 중요성을 이해하며, 이를 통해 환경 보호에서 서로 다른 지역사회 및 기업과 같은 이해관계자의 역할을 검토한다.

  교실 내 수업뿐만 아니라, 다양한 공동체 활동과 학습경험으로 정규 커리큘럼의 학습이 강화되기도 한다. 학생들은 실천적인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환경 클럽을 구성하기도 하며, 싱가포르 수자원 공사의 ABC(Active, Beautiful and Clean) 프로그램, 기후변화와 뎅기열에 관한 환경보건연구소 워크숍 등 다양한 환경 관련 프로젝트와 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교육부는 학생들이 환경에 대한 충분한 지식과 학습 경험을 쌓을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노력하고 있다.

 

  - 환경부 주관의 비정규 환경 교육 커리큘럼

  환경부가 주도하는 비정규 교과과정 속 환경교육은 3P(Public(공공기관), Private(사기업), People(민간단체))로 불리는 기관들과 협력하여 실행된다. 환경부는 환경교육에 대한 실행방안을 구현하고 3가지 기관들이 상호보완적으로 환경교육을 할 수 있도록 소통, 참여, 권한 부여의 단계를 통해 도움을 준다.

  소통의 단계에서는 환경과 관련된 책자나 자료를 배포하고, 환경 캠프, 대회, 지역 커뮤니티와 연계된 프로그램들을 구성한다. 이런 활동들에 참여함으로써 학생과 교사들은 환경에 대한 관심과 이해도를 제고하고 역량을 쌓는다. 또한, 학교에서 실시하는 재활용 실천 대회, 공공 위생시설 깨끗이 이용하기, 전력사용량 줄이기 등의 프로그램에 참여한다. 이러한 활동들을 바탕으로 국제 어린이 환경 세미나를 개최하는 등 영향력 있는 행사를 주최할 수 있게 되었다. CapitaLand Limited, Bayer, Starhub 등과 같은 기업들은 사회를 위해 환경과 관련된 프로그램이나 지속 가능한 사회를 유지하기 위한 기금을 조성한다. 예를 들면, 60%에 해당하는 싱가포르 학생들이 Starhub(싱가포르의 이동통신 회사)와 싱가포르환경위원회(Singapore Environment Council, EC)에서 지원하는 School Green Awards(SGA)에 참여하고 있다. 작년의 경우 410개의 학교가 참가했는데 SGA를 통해 5백만kW의 전기, 13천만L의 물, 47t의 전자폐기물을 절약하고 재활용하였다. 이렇게 3가지 기관(3P)이 협조하여 학생들에게 환경에 대한 열정을 행동으로 전환시키고, 지속가능성에 대한 이해를 얻도록 장려한다.

 


 

  시사점

  싱가포르 환경교육은 기후변화, 환경 보전에 대한 정부의 명확한 비전 아래 정책이 수립되고, 목표에 도달하였을 경우 그다음 단계의 정책을 추진하며 독립 이후부터 50년간 꾸준하게 관리되었다. 이를 통해 공공기관과 지역사회, 기업이 유기적으로 협력하여 소통, 참여, 권한 부여의 실질적인 환경교육과 프로그램을 만들었다. 이러한 정부의 강력한 정책 추진과 체계적인 환경교육은 아시아 최상위 수준의 경제 및 환경 수준을 유지하는 싱가포르의 원동력이 될 수 있었다.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참고문헌]

 

싱가포르 국립 도서관 (2015). "Garden City" Vision is introduced.http://eresources.nlb.gov.sg/history/events/a7fac49f-9c96-4030-8709-ce160c58d15c
싱가포르 국립 도서관 (2016). Singapore Green Plan.http://eresources.nlb.gov.sg/infopedia/articles/SIP_1370_2008-11-22.html
싱가포르 교육부 (2019). Environmental Education.https://www.moe.gov.sg/news/parliamentary-replies/environmental-education
싱가포르 수자원공사 (2019). Active, Beautiful, Clean Waters Programme.https://www.pub.gov.sg/abcwaters/about
Eco-Business (2017). Sixty per cent of Singapore’s Students Mobilised to Save the Environment.https://www.eco-business.com/press-releases/sixty-per-cent-of-singapores-students-mobilised-to-save-the-environment/
Francis Wong Bing Kwan (2003). Environmental Education in Singapore: A Curriculum for the Environment or in the National Interest?https://hub.hku.hk/bitstream/10722/42274/1/88809.pdf?accept=1
싱가포르 환경부 (2009). Environmental Education in Singapore.https://unfccc.int/sites/default/files/ap2009p12.pdf

 

 

원고는 집필자의 전문적 시각으로 작성된 것으로

교육정책네트워크 및 한국교육개발원의 공식 입장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김연정.jpg

김연정 선생님은 홍익대학교 회화과 학사와 석사를 취득하고, 싱가포르 한국 국제학교 (Singapore Korean International School)에서 미술 교육을 지도하였다. 한국교육개발원에서 교육정책네트워크 싱가포르 해외통신원으로 활동하고 있으며, 싱가포르의 교육정책, 아동교육, 교육복지 등의 연구에 관심을 가지고 있다.

필자
김연정
소속
교육정책네트워크 싱가포르통신원
발행일
2019.09.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