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인 컨텐츠 화면
교육정책개선·선도연구
- HOME
- 교육현안분석
- 교육현안분석
- 교육정책개선·선도연구
초·중학생의 또래 관계 특징과 교육적 대응 방안
- 발행일
- 2022.12.09
- 출판연도
- 2022
- 연구책임자
- 서덕희
- 소속
- 조선대학교
- 내용요약
-
이 연구는 코로나 19로 인하여 비대면수업을 장기적으로 경험한 현재 초3, 초6, 중3의 학생들이 어떻게 또래 관계를 맺으며 그 특징은 어떠한지, 그러한 양상을 가능하게 하는 인과적 기제는 무엇인지를 그들의 일상에 대한 총체적 이해 속에서 밝히고자 한다. 이를 통해 그러한 관계가 학생 성장에 어떤 의미가 있으며, 이를 교육적으로 지원할 수 있는 방안은 무엇인지를 모색할 수 있다.
목 차
Ⅰ. 서론 1
1.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1
2. 이론적 배경 4
1) 비판적 실재론 5
2) 선행연구 검토 7
3. 연구의 내용 및 범위 20
Ⅱ. 연구 방법과 과정 22
1. 혼합연구방법 22
1) 비판적 실재론에서의 혼합연구 22
2) 혼합연구의 단계 23
3) 혼합연구의 과정 24
2. 연구결과의 기대효과 및 활용방안 46
Ⅲ. 초․중학생의 또래 관계 및 주요 변인의 변화: 종단 패널 데이터 분석 47
1. 초․중학생의 또래 관계 변화 48
2. 초․중학생의 정서적 변화 52
1) 자아존중감의 변화 52
2) 사회적 위축의 변화 56
3. 초․중학생의 미디어 관련 일상생활의 변화 59
1) 스마트폰 사용 시간의 변화 60
2) SNS 사용 시간의 변화 65
3) 스마트폰 의존도의 변화 68
4. 소결 72
Ⅳ. 초․중학생의 또래 관계 양상: 사례 연구 78
1. 초등학교 3학년: 주어진 관계 중심의 동일성 추구 78
1) 물리적 근접성에 의한 관계: “옆에 붙어 있으니까” 78
2) 관계에서의 배제: “다르거나 틀리거나” 80
3) 외부 개입으로 인한 관계 맺기 88
4) 성향에 따른 관계 맺기 91
5) 교사와 부모 개입 중심의 갈등 해결 97
6) 오프라인 함께 놀이, 온라인 혼자 놀이 102
7) 소결 111
2. 초등학교 6학년: 자신만의 관계 기준 형성과 관계의 다양화 114
1) 관계의 깊이와 경계의 세분화 114
2) 자신의 관계 특성에 대한 자각과 그에 따른 배제 117
3) 온라인을 통한 새로운 관계 형성 121
4) 교사와 부모 개입을 통한 관계 형성 혹은 단절 132
5) 갈등의 회피, 방치, 그리고 해결 137
6) 관계의 깊이에 따른 놀이의 차별화와 다양화 147
7) 소결 152
3. 중학교 3학년: 드러내기의 정도와 폭에 따른 관계 관리 155
1) “나를 드러낼 수 있는 사람” 155
2) 학급, 일상적인 사회적 관계에서의 역동 161
3) 관계 형성과 확장 방식의 다양화 173
4) 평가와 위계 183
5) 갈등에 대한 성찰과 대응의 다양화 187
6) 일상적 관계의 장으로서의 SNS, 자유 혹은 족쇄 198
7) 소결 207
Ⅴ. 초․중학생의 또래 관계 양상의 인과적 기제 210
1. 단자화(單子化)와 갈등 회피 양상의 인과적 기제 210
1) 단자화와 갈등회피 양상 210
2) 상황 분석 214
3) 소결 233
2. 온라인과 오프라인 관계의 분리 양상의 인과적 기제 236
1) 온라인과 오프라인 관계의 분리 양상 236
2) 상황 분석 238
3) 소결 249
3. 온라인과 오프라인 관계의 통제 양상의 인과적 기제 252
1) 온라인과 오프라인 관계의 통제 양상 252
2) 상황 분석 255
3) 소결 277
Ⅵ. 초․중학생의 또래 관계 개선을 위한 교육적 대응 방안 283
1. 관계에 대한 도구적 관점에서 목적적 관점으로 283
1) 교과라는 공동의 놀이에서 서로에게 “벗적” 이 되기 284
2) 자유로운 함께 놀이가 가능한 시공간의 확보와 과대학교, 과밀학급 해소 285
2. 성장에 대한 자기착취의 관점에서 놀이와 향유의 관점으로 287
1) “꿈”과 “끼” 담론의 자기계발 및 자기착취적 효과에서 벗어나기 287
2) 배움을 실천공동체에 참여하는 놀이가 되도록 하기 289
3. 학교 폭력에 대한 사법적 접근에서 교육적 접근으로 292
1) 생활세계 내의 자율적 관계 규범에 대한 존중 292
2) 학생들의 건강한 또래 문화를 위한 교사의 관찰과 문화상대주의적 태도 함양 294
4. 학교급별 실천 방향 296
1) 초등학교: 실천공동체에의 놀이적 참여와 다양한 관계 형성 296
2) 중학교: 학교 안팎의 실천공동체와 공동체 의례 활성화와 참여를 통한 시민 역량 함양
299
Ⅶ. 결론 302
1. 요약 302
2. 결론 308
참고문헌 310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