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획기사

  • HOME
  • 해외교육동향
  • 해외교육동향
  • 기획기사

덴마크의 무기력 학생에 대한 지원정책

작성자
윤은지(덴마크통신원)
발행일
2022.04.13





───── 덴마크의 무기력 학생 현황 및 관련 이슈


   덴마크는 20148월 초중등학교 교육개혁을 실시했으며, 개혁 당시 세웠던 목표 중 하나는 다양한 교수방법을 사용하고 학생들에게 배우고자 하는 의지를 촉진시키는 것이었다. 이러한 의도와 달리 초중등학교 학생을 대상으로 진행된 국가웰빙 설문조사에 따르면, 학생들은 점점 학습에 참여하고자 하는 의욕을 잃고 있다.


   덴마크 공영방송 DR(2018)에 보도된 기사에 따르면, 아동교육부(Børneog Undervisningsministeriet)가 모든 초등학교 및 중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실시한 국가설문조사(Folkeskolens Trivselsundersøgelse)에서 2014/15학년도 설문조사에 참여한 4명 중 1명의 학생이 수업에 지루함을 느낀다고 답하였으며, 2017/18학년도에는 3명 중 1명의 학생들이 수업이 지루하다고 자주 또는 매우 자주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external_image


[그림 1] 초등학교 4학년부터 중학교 3학년 학생들이 수업에 얼마나 지루함을 자주 또는 매우 자주 느낀다고 답한 결과

출처: DR (2018)

 

   덴마크 평가 연구소(Danmarks Evalueringsinstitut, EVA)2021년에 발표한 코로나19 펜데믹 상황에서 초등학교 교육 경험(Grundskolers erfaringer med nødundervisning under covid-19-pandemien)’에 대한 보고서에서는 코로나19 팬데믹으로 휴교 또는 원격 수업을 진행하게 되면서 교사 3명 중 2명은 학생들에게 동기를 부여하는 데 더욱 어려움을 느낀 것으로 나타났다(EVA, 2021). 학교 수업이 비대면으로 진행되면서 초등학교 5학년과 중학교 2학년의 45%의 학생들은 학습에 대한 무기력함을 더 많이 갖게 됐다고 응답한 반면에 초중학교 학생 중 3명 중 1명만이 코로나19 펜데믹 기간 전보다 적극적이게 되었다고 응답했다(EVA, 2021).


   이후 대면 수업으로 전환되면서 학교로 돌아온 학생들은 시간이 지날수록 학생들은 수업에 단조로움을 느끼기 시작했고, 학습에 흥미를 갖지 못하는 등 무기력함을 느끼고 있어 덴마크에서도 상당히 어려움을 겪고 있음을 알 수 있다.

 


───── 제도적 지원 및 사례


   연구학교 사례1)

 

   2014년 초중등학교 교육개혁의 일환으로, 덴마크 평가 연구소는 학생들의 학습에 대한 무기력함을 해소하고자 연구학교로 선발된 3개교와 협력하여 창의적 체험활동과 팀 구성에 대한 사례 연구를 실시했다. 이후 2016년 덴마크 평가 연구소가 발행한 창의적 체험활동과 팀(Linjer og hold i udskolingen)’ 결과보고서의 주요내용은 다음과 같다.


   창의적 체험활동(linjer)은 교과외 활동으로, 연구학교에서 중학교 1학년 학생들은 자신의 흥미에 따라 일반적으로 과학, 국제, 스포츠 분야와 관련된 다양한 과목을 선택하거나 팀 활동으로 참여하게끔 하였다. 결과보고서에 따르면, 연구학교마다 운영 방식은 달랐으나, 3개교 모두 학생들의 학습 동기가 강화된 사례를 경험했다고 밝혔다.


   창의적 체험활동을 중심으로 한 필레고드스 학교(Pilegårdsskolen)의 경우, 학생의 동기부여를 위해 초등학교 6학년 말에 자신이 참여할 창의적 체험활동을 스스로 선택하게 한다. 이를 통해 각 창의적 체험활동이 가지는 특성에 관한 관심을 기반으로 학생들의 선택권을 강조한 것이다. 창의적 체험활동은 특정 학문 분야에 대한 호기심과 관심을 자극할 수 있어 학생들의 학습 동기를 강화할 수 있다고 보았다. 예를 들면, 운동이나 글로벌 이슈에 대한 관심이 있는 학생이 이와 관련된 창의적 체험활동을 직접 선택하고자 하는 학습 동기를 발견한다는 것을 분석을 통해 알 수 있었다. 창의적 체험활동을 통해 특정 분야의 전문성에 대한 관심이 학생들에게 있어서 보다 의미 있고 학습 공동체를 만날 기회를 얻게 됨에 따라 진정한 학습 공동체를 만들게 된다.


   팀을 구성하는 교수방법을 중심으로 학생들을 지도한 혼백 학교(Hornbæk Skole)와 룬홀룸 학교(Lyngholmskolen)의 경우, 학급 단위에서 다양한 수준이나 활동 방식에 따라 차별화된 팀으로 구성됨에 따라 동기 부여를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준별로 팀을 구성할 경우, 학생들이 자신의 역량에 대해서 스스로 성찰하고 개발하고자 하는 동기를 자극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경우 교사가 수업에서 학생들에게 수준과 상황에 따라 학습에 대한 지식을 적절하게 공유할 수 없을 때는 배우고자 하는 동기를 자극하는 데 어려울 수 있다는 점을 지적했다.


   이러한 노력으로 연구학교 3곳은 공통적으로 창의적 체험활동과 팀 활동을 통해 학생들에게 학습 동기를 부여하는 긍정적인 경험을 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학교들의 사례를 살펴보았을 때, 보고서에서 제시한 4가지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학생들의 관심과 흥미를 바탕으로 한다.

   둘째, 특정한 분야나 과목을 이해, 학습 또는 수행하는 데 필요한 교육적 요소를 기반으로 다양한 교육을 장려한다.

   셋째, 학생들의 새로운 관계를 형성할 기회를 지원한다.

   넷째, 학생들이 학교생활을 잘할 수 있도록 돕는다.

 

   로스트럽 학교(Løgstrup Skole) 사례2)

 

   학부모와 교육위원회를 위한 전국협회인 학교와 학부모(Skole og Forældre)’홈페이지에서는 학생이 학부모와 교사가 학습 과정에서 함께한다는 것을 경험할 때 학습 동기가 증가한다는 것을 경험한 사례로 로스트럽 학교를 소개하고 있다.

 

   로스트럽 학교는 2017년도 학교 가정 간의 좋은 협력(Det gode skolehjemsamarbejde)’이라는 프로젝트를 통해 학생 개개인이 자신의 학습 과정에 대한 권리가 있음을 느낄 수 있도록 하여 동기를 강화하고자 노력했다. 전통적으로 학교와 부모 간의 면담은 성인 중심의 일방적인 의사소통에 가까웠다. 하지만 이 프로젝트의 결과로 오늘날 학교와 부모 간의 대화는 다르게 진행하고 있다. 로스트럽 학교는 학생을 자신의 학습 과정에 대한 적극적인 의사소통자로 참여시켰다. 그 결과 학생의 학습 동기가 강화됐을 뿐만 아니라 부모 또한 자녀의 학습지원을 위한 동기부여를 갖게 되어 협업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됐음을 경험했다. 이에 따라 학생, 부모, 교사가 학생의 학습 동기를 강화하기 위해 협업에서 어떤 역할을 해야 하는지 다음 <1>와 같이 정의하였다.

 

<1> 학교와 가정 협업에 있어서 학생, 학부모, 교사의 역할 정의

구분

역할별 정의

학생

· 동기부여를 통해 자기발전에 있어 주인의식을 가진다.

· 자신이 배워야할 것을 알고 학습에 정진한다.

· 가정에서 적극적인 의사소통을 한다.

학부모

· 자녀가 무엇을 했는지가 아니라, 무엇을 배웠는지에 대해 함께 이야기한다.

· 학부모로서 자신이 협력에 있어 중요한 자원이자 조력자라는 점을 인식한다.

· 가족으로 할 수 있는 것들을 한다.

교사

· 학생이 스스로 성장하는 과정을 볼 수 있도록 돕는다.

· 학생이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 문제 해결보다는 학습 과정에 집중한다.

· 양육과 관련된 사항에 대해서 학부모에게 명확하게 안내한다.

출처: 학교와 학부모(2018), 로스트럽 학교 2017

 

 

   2021-2023 학교 교육에서의 학생 동기 강화 프로젝트


   지난해 덴마크 평가연구소는 2021년부터 2023년까지 시행 예정인 학교 교육에서의 학생 동기 강화 프로젝트에 관한 간행물을 공식 홈페이지에 배포하였다. 프로젝트 간행물은 덴마크 교사 협회(Danmarks Lærerforening)와 전국지방자치단체협회(Kommunernes Landsforening)를 대신하여 덴마크 평가연구소가 제작하였다.

이 간행물에 따르면, 전국 8개의 학교가 참여하는 이번 동기 부여 강화 프로젝트는 학생들에게 학습동기를 자극할 수 있는 다양한 교수방법을 활용 및 개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해당 프로젝트의 주된 목표는 다음과 같다(EVA, 2021).

  · 학생들의 동기를 자극하기 위해 다양한 교수방법을 활용한다.

  · 다양한 교수방법을 바탕으로 어떤 교육 조직 및 관리 방식이 효과적인지 파악한다.

  · 프로젝트에 참여하는 학교가 얻은 통찰력을 바탕으로 어떻게 다른 학교 및 정부에 영감과 경험을 공유할 수 있는지 알아본다.

 

   학생들이 일상생활에서 경험하고 있거나 관심을 가질만한 주제를 주변 환경과 연결하는 교수방법을 활용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제시된 일부 사례를 구체적으로 소개하고자 한다.


   - 수업사례1: 중학교 1학년 대상 소셜 미디어 사용에 관한 주제

   학생들이 그룹을 지어 서로 인터뷰하는 시간을 가지고 다른 사람들은 소셜 미디어에 사진을 게시할 때 무엇을 강조하는지, 소셜 미디어에서 다른 사람들에게 무엇을 찾게 되는지 등 살펴본다.

   실제로 인스타그램에서 사람들의 프로필을 살펴보고 사람들이 가지는 다양한 특성을 옷차림, 언어, 친구, 사진 등 여러가지 방법으로 표현 및 설명될 수 있음을 조사하고 토론하게 된다. 이 과정에서 자신을 이해하고 다른 사람들이 자신을 보는 방식 또한 배울 수 있다.

   이처럼 소셜 미디어를 활용하여 자기이해, 완벽의 문화, 민주주의, 성별에 대한 고정관념, 가짜 뉴스 및 여론 형성 등 일반적인 문화나 사회 문제까지 더 확장하거나 응용하여 수업할 수 있다(VPT, 2020).

- 수업사례2: 중학교 2학년 학생들의 수학 수업, 11월 블랙 프라이데이 진행 광고 활용

   학생들은 수학 시간에 인터넷에서 검색하여 블랙 프라이데이에 어떤 품목을 구매하고 얼마나 절약할 수 있는지 백분율을 계산하는 방법을 배울 수 있다. 이러한 수업은 학생들이 일반적인 소비자 입장에서 고려하게 되는 사항에 대해서 학습하게 되면서 사회가 연결하여 학생들의 비판적인 사고방식과 자신이 할 수 있는 것들에 대해 학습할 수 있다.

   - 수업사례3: 초등학교 6학년 대상 수학시간, 아침식사를 통한 다양한 이해

   초등학교 6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수학 시간에 교사는 아침식사로 무엇을 먹고 어떤 제품으로 구성하고 있는지, 영양 성분 등 조사하는 과제를 부여할 수 있다.

· , 우유, 치즈 등 얼마나 어떤 음식으로 아침 식사가 구성되는지 백분율로 계산하시오.

· 자신의 아침 식사 가격 혹은 가족 모두가 같은 아침 식사를 하는 경우의 비용을 계산하고 하루 단위, 한 달 단위 지출 비용을 계산하시오.

     · 아침 식사에 포함된 지방, 소금, 설탕 및 영양성분의 양을 조사하시오.

     · 아침 식사가 얼마나 건강한지 평가하시오.

   이와 같은 교수 방법으로 학생들은 수학, 과학, 기술·가정과 같은 과목을 배울 수 있으며, 경제학과 건강에 대한 이해, 자신과 자신이 속한 사회에 대해 깊은 탐구를 할 수 있게 된다. 일상생활에서 발생할 수 있는 문제들을 활용한 수업 방식은 일반적인 사회 문제뿐만 아니라 소비자 문화, 건강이나 기후 문제와 같은 문제로 확장·연결될 수 있다(VPT, 2020).

 


───── 맺음말


   앞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매년 전국 초중등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국가웰빙조사를 통해 덴마크에서는 학습에 지루함을 느끼고 무기력한 학생들이 점점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어떻게 하면 학생들에게 학습 동기를 부여할 수 있고 이를 강화할 수 있을지 다양하고 구체적인 사례를 중심으로 살펴볼 수 있었다.


   덴마크에서 동기 부여는 학생들이 가지고 있거나 없는 것이 아닌 경험에서 얻을 수 있다고 보는 것에서 시작한다. 이에 따라 학생들의 학습 동기에 영향을 줄 수 있는 교사와 부모의 역할과 관계를 중요하게 보고 있다. 교사는 학생들이 어렵거나 너무 많은 과제를 수행해야 할 경우 학습에 지루함을 느끼거나 불안, 자존감에 부정적인 영향을 끼치기 때문에 학생들에게 작은 성공 경험을 할 수 있도록 도와야 한다. 그리고 학교에서 다양한 과제를 도전할 수 있는 자신감을 심어줄 수 있는 교사와 부모의 관심과 지원이 있다면 결과적으로 동기를 강화할 수 있다(EMU, 2021).


   학교는 아직까지 교사 주도로 교실 수업에서의 책 중심의 단조로운 수업이 진행된다(EVA, 2021). 이러한 수업으로는 무기력한 학생들을 도울 수 없다고 본 덴마크는 지난해부터 다양한 교수 방법을 활용하여 지역 환경을 활용함으로써 학습 공간을 확장하고 보다 실용적인 교육 방식을 제안하는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다. 일상생활 속에서 다양한 교과목을 접목할 수 있는 과제들을 수행하게 하여 학생들의 흥미를 유발하고 학습에 스스로 몰입을 유도하여 궁극적으로 동기를 강화하는 데 노력하고 있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다.


________________________

1) 덴마크 평가연구소(2016) ‘창의적 체험활동과 팀결과보고서의 주요내용을 발췌하여 정리함.

2) 학교와 학부모홈페이지의 로드스트럽 학교 사례를 발췌하여 정리함.


________________________

[참고문헌]

Danmarks Evalueringsinstitut(EVA) (2021). Grundskolers erfaringer med nødundervisning under covid-19-pandemien.
https://www.eva.dk/grundskole/grundskolers-erfaringer-noedundervisning-under-covid-19-pandemien. (2022.04.03 인출)

Danmarks Evalueringsinstitut(EVA) (2016). Linjer og hold i udskolingen. https://www.eva.dk/grundskole/linjer-hold-udskolingen(2022.04.03. 인출)

Danmarks Evalueringsinstitut(EVA) (2021).Varieret undervisning i udskolingen Vidensgrundlag. |https://www.eva.dk/grundskole/varieret-undervisning-udskolingen(2022.04.03. 인출)

DM (2018.02.27). Løgstrup Skole 2017 (Viborg).
https://www.dmskoleudvikling.dk/artikel/l%C3%B8gstrup-skole-2017-viborg(2022.04.03 인출)

DR (2018.12.7). Dagdrømme og gab: Flere elever keder sig i folkeskolen https://www.dr.dk/nyheder/indland/dagdroemme-og-gab-flere-elever-keder-sig-i-folkeskolen(2022.04.03 인출)

EMU (2021). Motivation også en læreropgave. https://emu.dk/stx/paedagogik-og-didaktik/feedback-og-motivation/motivation-ogsaa-en-laereropgave(2022.04.03 인출)

Folkeskolen (2021.02.15). Stor undersøgelse af nedlukningen: De fleste lærere havde problemer med at motivere eleverne. https://www.skole-foraeldre.dk/artikel/motivation-i-udskolingen(2022.04.03 인출)

VPT (2020.01.10). Nye læringsrum eksempler på undervisning. https://vpt.dk/nye-laeringsrum-eksempler-pa-undervisning(2022.04.03 인출)


원고는 집필자의 전문적 시각으로 작성된 것으로 

교육정책네트워크 및 한국교육개발원의 공식 입장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