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HOME

[핀란드] 국가교육위원회, 학습역량을 높이기 위한 문해력 교육 지원

원문제목
Lukutaitotyö ja kielitietoinen opetus tukevat oppimis- ja osaamistason nostamista
자료출처
국가교육위원회 [원문보기]
대상분류
초등
주제분류
평가/입시
발행일
2023.02.22
국가교육위원회 (2023.02.08.)

 

  • 핀란드 교육문화부와 핀란드 국가교육평가센터(Kansallinen koulutuksen arviointikeskus, 이하 Karvi)가 함께 진행한 초등교육 부문에의 역량개발과 관련한 연구에 따르면, 최근 핀란드 학생의 학습역량 수준이 전반적으로 저하되었으며 특히 문해력 부족 현상이 심각한 것으로 보고되었음. 앞서 국가교육위원회는 2021국가 문해력 전략(Kansallisen lukutaitostrategian)’보고서를 발표한 적이 있으며 이를 기반으로 오늘날까지 새로운 문해력 프로그램을 지속해서 마련해왔음. 한편, 추가로 제안된 문해력 증진 조치 및 이의 결과에 관한 연구보고서에 따르면, 언어 인식(kielitietoisuus)1)은 학생의 문해력을 발달시키고 모든 학습의 기초역량을 다지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드러났음. 이에 대해 한나 야르벤빠(Hanna Järvenpää) 국가교육위원회의 특별전문가는 해당 문제를 바로잡기 위해서는 언어 인식(kielitietoisuus) 교육을 포함한 문해력 증진 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고 하였음. 더불어 국가교육과정에 명시되어 있는 언어 인식(kielitietoisuus)’을 학교운영문화 발전을 위한 지침으로도 활용할 수 있다고 하였음.

 

  • 한편, 교육문화부가 주관한 설문 조사에 따르면, 핀란드 학생의 학습 성과는 20년 넘게 저하되고 있으며 국제적 비교를 통해서 본 이들의 학업 성취도 또한 빠르게 하락하였다고 보고되었음. 또한, 사회·경제적 배경 요인이 학생 개인별 학습 격차와 연관되어 있다는 해당 조사 결과는 다른 교육 연구자료들의 결과와도 일치하였음. 학부모의 교육수준은 자녀의 학습과 역량뿐만 아니라 향후 교육수준까지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드러났음. 한편, Karvi가 수행한 모니터링 연구 결과의 주요 골자는 다음과 같음.


  1. 보호자의 교육수준은 초등학교 자녀의 독서 취미활동과 연관되어 있음.
  2. 학생의 수학과 핀란드어 능력 수준에의 격차는 초등학교 저학년부터 드러나기 시작함. 초등학교 입학 학생 중에는 관련 과목들의 역량이 3학년 수준에 도달한 경우도 있었음.
  3. 핀란드어를 제2외국어로 공부하는 학생은 평균적으로 핀란드어 또는 스웨덴어를 모국어로 사용하는 학생보다 역량 및 이의 발달 수준이 낮았음. 한편, 2외국어로 핀란드어를 공부하는 학생 집단 내의 학생별 역량 수준의 차이는 컸음.
  4. 학습 장애는 모국어 능력과 관계없이 학습역량의 발달 수준에 영향을 끼침. 특히 직계가족 구성원 중에 학습 장애가 있는 경우 이는 학습역량을 저하할 수 있는 요소로 작용함. 이에 따라 다양한 학습에의 장애 요소를 가진 학생의 학습발달이 가장 더딜 수 있음.
  5. 여가시간에 규칙적으로 독서를 하는 1학년 학생의 역량 발달 수준이 높은 것으로 드러났음. 특히 매일 독서를 하는 학생들은 다른 학생들보다 전반적인 학업 능력이 1년 정도 앞서 있었음. 이러한 독서의 효과는 3학년까지 지속하였으며 이는 수학 과목 역량에도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드러났음.
  6. 학생의 읽기에 대한 동기는 함께 읽기(joint reading)’와 독해 공부 등 언어 인식 교수법을 통해 증진할 수 있음. 읽기를 통해서 기본적인 학습 능력을 촉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다양한 과목의 텍스트를 이해하는 능력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끼침.

 

  • 야르벤빠 특별전문가에 따르면, 디지털 텍스트 읽기 능력은 다중문해력 기술이 요구되며 이는 학교 수업을 통해 배울 기회가 제공되어야 한다고 강조하였음. 이어서 독서를 통한 문해력 증진은 학습발달과 직접 연관되어 있음에 따라 개별 학생의 학습 수준과 역량을 높이기 위해서도 필요한 부분이라고 하였음. 한편, 학생의 문해력 및 학습 성과 향상과 관련한 업무는 교사 개인의 몫이 아니라 다양한 행정 및 산업 분야에 걸쳐 효과적인 대안을 마련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덧붙였음. 올해 초부터 핀란드 국가교육위원회는 다중문해력 교육의 일환으로 언어 인식 교육을 지원하는 학습 자료를 출판할 예정이며, 유아교육을 받는 아동을 대상으로 다중문해력 발달을 지원하는 유아교육 읽기 모델(Lukeva varhaiskasvatus mallia)’을 시범 운영할 것이라고 밝혔음.

 

1) 언어 인식(kielitietoisuus)은 국가교육위원회가 2014년 국가핵심교육과정의 기초교육 부분에 도입한 개념으로 언어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음. 학생의 다양한 언어 사용을 장려할 뿐만 아니라 관련 텍스트를 읽고, 이해하고, 해석하는데 필요한 도구 활용을 권장함.